티스토리 뷰
금리 확인 바로가기
시중은행👈 | 저축은행👈 |
새마을금고👈 | 신협👈 |
아래에서 생각해두신 예치기간과 예치금액을 설정하셔서 세후 이자를 확인해보세요!
2025년 을사년 푸른 뱀의 해를 맞았습니다.
지난해에 세웠던 재테크에 대한 아쉬움을 올 한 해에는 입가에 미소가 띠는 한 해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2025년 1월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를 통해 어떤 시중은행의 금리가 가장 높은지 알아보겠습니다.
아울러 3~36개월의 기간별 금리도 살펴보고, 현시점 금융기관 중 금리가 가장 높은 곳 또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25년 1월
시중은행 금리
2025년 1월 시중은행 금리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계신데요.
아래 표는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는 시중은행 금리 6개월 기준에 대한 표입니다. (예치 금액: 1,000만 원)
가입율은 12개월 상품이 높지만 아래 6개월 상품에 대한 금리표를 여러분께 알려드리는 이유는 바로 금리입니다.
3~36개월 통틀어 예치 기간 6개월의 금리가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기간별 금리(3~36개월)에 대한 소식은 아래 목차에서 이어서 진행하도록 할 테니 아래 표는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기간별 금리비교
3~36개월에 해당하는 기간별 금리비교를 통해 어떤 시중은행의 금리가 가장 높은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에서 언급드렸다시피 현시점 금리가 가장 높은 예치 기간은 6개월입니다.
그럼에도 예금 가입율은 12개월이 가장 높은데요.
예치 금액 1,000만 원을 기준으로 했을 때 1~10위에 해당하는 3~36개월의 금리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지난달(2024년 12월 다섯째 주) 금리와 비교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예치 기간: 3개월
예치기간 3개월 기준,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수협은행입니다.
금리 3.35%로 상품명은 헤이(Hey)정기예금이며, 3개월 만기 후 70,75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국내 5대 시중은행에는 NH농협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KB국민은행이 있습니다.
3~12개월에 늘 빠지지 않고 1~10위에 등판하는 5대 은행에는 NH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이 있습니다.
각각의 상품은 'NH올원e예금(3.20%)', 'NH왈츠회전예금 ll(3.10%)'과 'WON플러스예금(3.20%)'이 있습니다.
지난주 대비 금리 변동이 있었는데요.
전북은행의 'JB 다이렉트예금통장 (만기일시지급식)'으로 금리 3.40% → 3.30%로 0.01%p 하락했습니다.
예치 기간: 6개월
예치 기간 6개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 기간 통틀어 가장 금리가 높은데요.
전북은행의 'JB 다이렉트예금통장 (만기일시지급식)' 상품으로 금리 3.43%에 해당합니다.
6개월 만기 후 145,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지난주 대비 금리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북은행
'JB 다이렉트예금통장 (만기일시지급식)'
3.50% → 3.43%(0.07%p 하락)
IBK기업은행
'1석7조통장(실세금리정기예금)'
3.12% → 3.26%(0.14%p 상승)
예치 기간: 12개월
12개월 정기예금 상품에는 수협은행의 '헤이(Hey)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가 가장 높습니다.
금리 3.40%로 12개월 만기 후 288,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지난달 마지막 주 금리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북은행
'JB 다이렉트예금통장 (만기일시지급식)'
3.35% → 3.20%(0.15%p 하락)
IBK기업은행
'1석7조통장(실세금리정기예금'
3.18%(순위 등판)
한국산업은행
'KDB 정기예금'
3.10%(순위 배제)
예치 기간: 24개월
예치 기간 24개월 기준 금리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은 중소기업은행(IBK 기업은행)입니다.
금리 3.12%의 '1석7조통장(실세금리정기예금)' 상품으로 만기 후 528,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지난주 대비 금리 변동은 아래와 같습니다.
IBK기업은행
'1석7조통장(실세금리정기예금)'
2.73% → 3.12%(0.39%p 상승)
광주은행
'스마트머아Dream정기예금'
2.67 → 2.66%(0.01%p 하락)
예치 기간: 36개월
마지막으로 예치 기간 36개월입니다.
중소기업은행(IBK 기업은행)의 '1석7조통장(실세금리정기예금)' 상품의 금리가 3.09%로 가장 높습니다.
36개월 기준 눈여겨볼 것이 하나 있는데요.
지금까지 5대 시중은행에는 3~12개월 예치 기간에 NH농협은행과 우리은행으로 오래도록 1~10위에 등판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이번에는 NH농협은행(NH올원e예금, 2.95%)과 우리은행(WON플러스예금, 2.60%), 하나은행(하나의정기예금, 2.60%)로 가장 많은 비중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주 대비 IBK기업은행의 '1석7조통장(실세금리정기예금)'의 금리가 2.66% → 3.09%로 0.43%p 상승했습니다.
정기예금 가입방법
정기예금 가입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창구에 직접 방문해서 가입하는 대면의 방법과 창구에 방문하지 않고 모바일 어플로 쉽게 가입할 수 있는 비대면의 방법이 있습니다.
위에서 다룬 시중은행 상품 가입 방법을 '비대면'과 '대면 & 비대면'으로 아래 표로 정리했습니다. 해당 가입 방법은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했으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비대면
가입 방법 |
[은행명] 상품명 |
비대면 | [수협은행] 헤이(Hey)정기예금 [전북은행] 1. JB 다이렉트 예금통장 2. JB 123 정기예금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IBK 기업은행] 1석7조통장 [주식회사 케이뱅크] *코드K 정기예금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농협은행주식회사] NH올원e예금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 [경남은행] 1. BNK주거래우대 정기예금 2. BNK더조은정기예금 [광주은행] 스마트모아Dream 정기예금 [아이엠뱅크] IM스마트예금 [부산은행] 더(The) 레벨업 정기예금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 [토스뱅크 주식회사] *토스뱅크 먼저 이자 받는 정기예금 |
* K뱅크를 비롯해 토스뱅크 상품은 모바일 앱에서 다운로드하셔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대면 & 비대면
가입 방법 |
[은행명] 상품명 |
대면 & 비대면 모두 가능 |
[광주은행] The플러스예금 [수협은행] Sh해양플라스틱 Zero!예금 [한국산업은행] KDB 정기예금 [농협은행주식회사] 1. NH왈츠회전예금 ll 2. NH내가Green 초록세상예금 [중소기업은행] IBK평생한가족통장 [아이엠뱅크] DGB주거래우대예금 (첫만남고객형) [제주은행] 1. 제주Dream 정기예금 2. J 정기예금 [아이엠뱅크] IM주거래우대예금 (첫만남 고객형) |
금리 가장 높은 금융기관
1 금융권에 해당하는 시중은행, 2 금융권에 해당하는 저축은행, 3 금융권에 해당하는 새마을금고, 신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금융기관의 정기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정기예금 상품을 살펴보시면 시중은행의 금리가 가장 낮다는 것을 알게 되실 텐데요.
아래에서 현시점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을 살펴본 후 시중은행과 금리와 세후 이자 차이는 어떻게 되는지 표로 정리했으니 참고하시면 가시적으로 보시기 편리하실 것 같습니다.
조사 기준은 예치 기간: 6~36개월, 예치 금액: 1천만 원, 순위: 1~10위에 한해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치 기간: 6개월
먼저 6개월입니다.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OSB저축은행입니다.
금리 4.20%인 해당 저축은행의 상품명은 '정기예금'과 '인터넷정기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6개월 만기 후 177,66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정기예금'은 방문가입, '인터넷정기예금'은 온라인 가입만 가능합니다.
금리 3.70%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은 표 외에 아래와 같이 금융기관이 있습니다.
[신협]
봄내(파워정기예탁금), 중도(한아름정기예탁), 대사(유니온정기예탁금), 백암(유니온정기예탁), 충절로(정기예탁금), 남양주(파워정기예탁금, 유니온정기예탁금, 정기예탁금), 대구대서(정기예탁금)
예치 기간: 12개월
예치 기간 12개월 중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원광 새마을금고 본점입니다.
금리 3.90%이며, 상품명은 'MG더뱅킹정기예금'입니다. 만기 후 329,94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가입 방법은 온라인 가입만 가능합니다.
금리 3.70%에 해당하는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새마을금고]
반고개(Block예금), 보은(Block예금, MG기업정기예금 B), 성북(Block예금), 후포(Block예금), 새빛(MG더뱅킹정기예금), 서울금남(MG더뱅킹정기예금), 예래동(MG더뱅킹정기예금), 동문(MG더뱅킹정기예금), 강남영동(꿈드림회전정기예탁금)
[신협]
용안(정기예탁금)
예치 기간: 24개월
예치 기간 24개월 기준입니다.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1~8위에 해당하는 곳으로
관교문학동 새마을금고 선학지점(정기예탁금, Block예금, 자유자재정기예금 ll),
성남중부 분당구미지점(자유자재정기예금 ll),
영해 새마을금고 본점(Block예금),
인제 새마을금고 신남지점(Block예금),
늘푸른사상 새마을금고 본점(정기예탁금),
반도신협 본점(OK회전예탁금)이 있습니다.
금리 3.60%에 해당하며, 만기 후 609,12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늘푸른사상 새마을금고 본점의 '정기예탁금' 상품만 온라인 가입만 가능하며, 나머지 금융기관과 상품들은 방문 가입만 가능하오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금리 3.52%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은 파주 새마을금고 본점(야당역) 상품인 '자유자재정기예금 ll', 정기예탁금'과 파주 새마을금고 제1 지점의 '정기예탁금'이 있습니다.
예치 기간: 36개월
마지막으로 예치 기간 36개월입니다.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금리 3.70%의 영해 새마을금고 본점의 'Block예금' 입니다.
36개월 만기 후 1,110,000원을 수령하게 되며, 방문 가입만 가능합니다.
금리 3.51%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은 상상인플러스 저축은행 본점의 '크크크 9개월 회전정기예금' 상품이 추가로 있습니다.
아래 표는 시중은행과 2, 3 금융권의 금리 비교입니다.
예치 기간 |
시중 은행 |
2, 3 금융권 |
6개월 | 3.43% 145,000원 |
4.20% 177,660원 |
12개월 | 3.40% 288,000원 |
3.90% 329,940원 |
24개월 | 3.12% 528,000원 |
3.60% 609,120원 |
36개월 | 3.09% 783,000원 |
3.70% 939,060원 |
※ 금액은 세후 이자임.
하나은행 희망퇴직 이슈
하나은행 희망퇴직 신청 안내
- 하나은행은 만 4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 이 신청은 2025년 1월 2일부터 1월 6일까지 진행된다.
- 희망퇴직은 금융권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제도이다.
- 이 제도는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퇴직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별퇴직 신청 기간 및 조건
- 특별퇴직 신청은 2일 금융권에 따라 진행된다.
- 신청 기간은 1월 2일부터 6일까지로 정해져 있다.
- 특별퇴직의 조건은 만 15년 이상 근무하고, 만 40세 이상인 일반직원이다.
- 이러한 조건은 하나은행의 인사 정책에 따른 것이다.
특별퇴직 대상 및 혜택
- 특별퇴직의 대상자는 오는 31일 기준으로 선정된다.
- 특별퇴직자로 선정될 경우, 특별퇴직금을 지급받게 된다.
- 특별퇴직금은 연령에 따라 최대 24∼31개월 치 평균 임금으로 지급된다.
- 이러한 혜택은 지난해 초 진행된 희망퇴직과 동일한 조건이다.
퇴직금 지급 기준
- 특별퇴직자로 선정되면 특별퇴직금이 지급된다.
- 지급되는 특별퇴직금은 연령에 따라 차등이 있으며, 최대 31개월 치 평균 임금이 지급될 수 있다.
- 이는 직원의 근무 연수와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 이러한 기준은 하나은행의 인사위원회에서 정해진다.
추가 지원 사항
- 1969년 하반기부터 1972년생까지의 직원은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지원 항목에는 자녀 학자금, 의료비, 전직 지원금 등이 포함된다.
- 이러한 지원은 직원들이 퇴직 후에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 추가 지원은 특별퇴직의 일환으로 제공된다.
퇴사 절차 및 일정
- 하나은행은 인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31일에 해당자들의 퇴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 퇴사 절차는 정해진 일정에 따라 진행된다.
- 이 과정에서 직원들은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인사팀의 안내를 받게 된다.
- 퇴사 일정은 하나은행의 내부 규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임금피크 특별퇴직 안내
- 매년 상·하반기에 진행되는 임금피크 특별퇴직이 있다.
- 이 특별퇴직은 1969년 상반기생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 임금피크 특별퇴직은 정년퇴직과 관련된 제도이다.
- 이 제도는 직원들이 퇴직 후의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특별퇴직금 지급 방식
- 특별퇴직금은 약 25개월치의 평균임금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 지급 방식은 생월별로 차등이 있으며, 이는 직원의 근무 기간에 따라 달라진다.
- 특별퇴직금 지급은 하나은행의 인사 정책에 따라 이루어진다.
- 이러한 지급 방식은 직원들에게 경제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마을금고 정기예금 금리비교, 예금자보호 한도 (0) | 2025.04.01 |
---|---|
2025년 미국, 국내 주식 개장일, 휴장일, 조기 폐장일, 증시 거래시간 (0) | 2025.01.09 |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12월 4주차) (0) | 2024.12.23 |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사이트, 이율높은곳] (0) | 2024.12.18 |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표] (0)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