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재테크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표]

재테크 경제 2024. 12. 9. 21:24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에 대해 표를 참고하여 정리했습니다. 

 

 

 

현재 예금 금리 확인

시중은행👈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협👈

 

 

 

아래 검색조건 입력창에서 예치 금액, 기간, 금융기관을 기호에 맞게 설정하시면 원하시는 결과 값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참고: 마이뱅크 홈페이지)

 

 

 

 

 

 

2024년도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시중은행 금리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는 시간 갖겠습니다. 

 

지난달 많은 금융 전문가들이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지만 이런 예상을 뒤엎고 금리 인하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2, 3 금융권에 있는 은행들의 금리 인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시간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울러 지난달 대비 12월 금리 변동폭이 큼에 따라 이에 대한 금리 비교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 순서

 

1.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2. 3~36개월 기간별 금리비교표

3. 정기예금 가입 방법

4. 현시점 금리 가장 높은 금융기관

5. 예금자보호 한도 1억 원 상향

6. 금리 인하 추세 대비 전략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12월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시중은행 정기예금 상품에서 가장 인기 높은 가입 기간과 금액에 대한 표입니다. 12개월의 예치 기간과 1,000만 원의 예치 금액입니다. 

 

3~36개월에 해당하는 정기예금 상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참고만 하시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3~36개월 기간별
금리비교표

 

3~36개월 기간별 금리비교에 대해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는 표를 참고했습니다. 해당 표에 대한 내용은 기간별(3~36개월)로 정리했으며, 예치 금액은 1,000만 원을 기준으로 1~10위 해당하는 은행에 대해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치 기간: 3개월

 

 

3개월 상품 중 금리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은 2곳이 있습니다. 

 

금리 3.40%전북은행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SC제일은행)입니다. 

 

각각 'JB 다이렉트예금통장''e-그린세이브예금' 상품입니다. 

 

3개월 만기 후 72,0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지난달 대비 금리 변동이 있었고 1~10위 한정 다음과 같이 변동에 대해 아래 정리했습니다. 

 

[수협은행]

헤이(Hey)정기예금

3.40 → 3.35%(0.05%p 하락)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3.37 → 3.20%(0.17%p 하락)

 

[농협은행]

1. NH올원e예금

3.35 → 3.20%(0.15%p 하락)

 

2. NH왈츠회전예금 ll

3.25 → 3.10%(0.15%p 하락)

 

[K 뱅크]

코드 K 정기예금

3.30 → 3.20%(0.1%p 하락)

 

※ 적게는 0.05%p, 많게는 0.17%p 하락하게 됐습니다.

 

 

 

예치 기간: 6개월

 

 

6개월 예치할 경우 금리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은 전북은행입니다. 

 

'JB 다이렉트예금통장' 상품으로 금리 3.50%이며, 6개월 만기 후 148,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지난달 대비 금리 변동은 아래와 같습니다. 

 

[농협은행]

1. NH올원e예금

3.45 →3.25%(0.2%p 하락)

 

2. NH왈츠회전예금 ll

3.35 → 3.15%(0.2%p 하락)

 

[수협은행]

헤이(Hey) 정기예금

3.42 → 3.40%(0.02%p 하락)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3.42 → 3.25%(0.17%p 하락)

 

[K 뱅크]

코드 K 정기예금

3.30 → 3.20%(0.1%p 하락)

 

[IBK 기업은행] (순위 배제)

1석7조통장

3.17 → 3.06%(0.11%p 하락)

 

[아이엠뱅크] (순위 등판)

iM스마트예금

3.15%

 

※ 6개월 상품에는 금리 변동폭이 적게는 0.1%p, 많게는 0.2%p 하락이 있었습니다. 

 

 

 

예치 기간: 12개월

 

 

12개월 예치할 경우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수협은행입니다. 

 

금리 3.40%이며, 12개월 만기 후 288,0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12개월 금리 변동폭이 3~36개월 통틀어 가장 많았습니다. 

 

[농협은행]

1. NH올원e예금

3.42 → 3.22%(0.2%p 하락)

 

2. NH왈츠회전예금 ll

3.32 → 3.12%(0.2%p 하락)

 

[수협은행]

헤이(Hey) 정기예금

3.42 → 3.40%(0.02%p 하락)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3.37 → 3.20%(0.17%p 하락)

 

[전북은행]

JB 다이렉트예금통장

3.35 → 3.25%(0.1%p 하락)

 

[K 뱅크] (순위 배제)

코드 K 정기예금

3.20 → 3.10%(0.1%p 하락)

 

[부산은행] (순위 배제)

더(The) 레벨업 정기예금

3.15 → 3.00%(0.15%p 하락)

 

[카카오뱅크] (순위 등판)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3.10%

 

[아이엠뱅크] (순위 등판)

iM스마트예금

3.10%

 

※ 적게는 0.02%p, 많게는 0.2%p 금리 하락이 있었습니다. 

 

 

 

예치 기간: 24개월

 

 

예치 기간 24개월 기준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농협은행제주은행이 있습니다. 

 

금리 2.95%이며, 각가의 예금 상품은 'NH올원e예금''제주Dream 정기예금'입니다. 만기 후 500,000만 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최 상단에 있는 전북은행의 'JB 123 정기예금' 상품은 12개월 상품으로 무시하시면 되겠습니다.(36개월 예치 기간 동일)

 

금리 변동 폭이 12개월 기준 다음으로 가장 높습니다.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농협은행]

NH올원e예금

3.05 → 2.95%(0.1%p 하락)

 

[K 뱅크]

코드 K 정기예금

3.00 → 2.80%(0.2%p 하락)

 

[IBK 기업은행] (순위 배제)

1석7조통장

2.88 → 2.63%(0.25%p 하락)

 

[광주은행]

스마트모아Dream정기예금

2.87 → 2.58%(0.29%p 하락)

 

[아이엠뱅크] (순위 등판)

iM주거래우대예금

2.87%

 

[경남은행]

BNK주거래우대 정기예금

2.90 → 2.65%(0.25%p 하락)

 

[카카오뱅크] (순위 등판)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2.80%

 

※ 24개월 기준 0.2~0.29%p 하락 폭이 있었습니다. 

 

 

 

예치 기간: 36개월

 

 

마지막으로 36개월 동안 예치 할 경우 금리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은 제주은행입니다. 

 

'제주Dream 정기예금' 상품으로 금리 3.05%이며, 36개월 만기 후 774,0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금리 변동 폭은 3~36개월 통틀어 적었습니다. 

 

[농협은행]

NH올원e예금

3.10 → 2.95%(0.15%p 하락)

 

[K 뱅크]

코드 K 정기예금

3.00 → 2.80%(0.2%p 하락)

 

[IBK 기업은행]

1석7조통장

2.77 → 2.55%(0.22%p 하락)

 

※ 0.15~0.22%p 변동 폭이 있었습니다. 

 

 

3~36개월 기간별 금리 비교를 표를 통해 살펴보았습니다. 지난달 금리와 비교도 했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하 발표를 기점으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 변동이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1~10위권에 등판하는 예금 상품도 있었지만 미미했습니다. 

 

 

 

정기예금 가입 방법

 

정기예금 가입 방법은 비대면 방법과 대면 방법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아래 글에 시중은행 정기예금 가입 방법에 대해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가입을 원하시는 분께서는 참고하셔서 예금 가입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정기예금 가입 방법 소개👇

 

(11월 마지막 주) 시중은행 예금금리 가장 높은곳

11월 마지막 주 시중은행 예금금리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현시점 시중은행 중 어떤 은행의 금리가 가장 높은지 알아보고 더불어 타 금융기관의 금리도 알아보겠습니다.   정기예금 금리 확인

unassailable.bkroh1000.com

 

 

 

현시점 금리 가장 높은
금융기관

 

현시점 금리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어디일까요?

 

마이뱅크 홈페이지에 방문하시면 시중은행,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협, 농/축협의 정기예·적금 상품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확이하실 수 있습니다. 

 

기간별에 따른 금융기관 순위, 금리, 세후 이자 등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실 수 있으니 아래에서 먼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예치 금액은 시중은행에서 다루었던 금액과 동일하며 순위는 1~5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예치 기간: 6개월

 

 

먼저 예치 기간 6개월입니다.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1~4위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으로 OSB저축은행(정기예금, 인터넷정기예금), HB저축은행(e-정기예금, 스마트정기예금)이 있습니다. 

 

6개월 만기 후 164,97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가입 방법은 OSB저축은행의 '정기예금' 상품을 제외하고 온라인 가입만 가능합니다. 

 

금리 3.80%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은 대전북부 새마을금고 제1분 사무소지점 제외하고 다음과 같이 금융기관이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대청, 삽교, 송파(장지지점)

 

[신협]

봉편신협, 신탄진신협, 내포신협

 

 

 

예치 기간: 12개월

 

 

예치 기간 12개월 기준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대왕 새마을금고 본점입니다. 

 

금리 4.20%이며, 만기 후 355,32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방문가입만 가능합니다. 

 

금리 3.80%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은 위 순위를 제외하고는 다음과 같습니다. 

 

[새마을금고]

대청, 호원(장수원지점), 동문, 나주동부

 

[신협]

구좌신협, 진보신협, 화천철원신협

 

 

 

예치 기간: 24개월

 

 

예치 기간 24개월 기준 송도신협 본점이 금리 3.80%로 가장 높습니다. 

 

24개월 만기 후 642,96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온라인/방문가입 모두 가능합니다. 

 

아래 가입 방법에 대해 자세히 정리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신협 비대면 가입 방법👇

 

신협 비대면(온라인) 예금 가입 방법_앱(App) 다운로드

신협ON뱅크 다운로드(안드로이드용) 신협ON뱅크 어플은 현재 안드로이드용으로만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는데요. IOS용은 App Store에서 다운로드 가능하십니다. 신협ON뱅크 앱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bkroh1000.com

 

 

 

금리 3.60%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은 안덕신협, e-푸른 새마을금고 은평구청지점을 제외하고 

 

[새마을금고]

관교문학동(선학지점), 성남중부(분당구미지점), 인제(신남지점), 화도, 두류

 

[신협]

덕양신협, 반도신협, 부산거제신협, 전주중산신협, 전주동부신협

 

이 있습니다. 

 

 

 

예치 기간: 36개월

 

 

마지막으로 예치 기간 36개월 기준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금리 3.70%세림신협입니다. 

 

만기 후 939,060원을 수령하시게 되며, 온라인 및 방문 가입 모두 가능하오니 가장 편하신 방법으로 가입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가입 방법은 위로 조금만 올라가시면 정리된 포스팅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금리 3.60%에 해당하는 곳은 이 외에도 아래와 같이 다양한 금융기관이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인제(신남지점), 화순(광덕지점), 두류

 

[신협]

덕양신협, 반도신협, 전주동부신협

 

[저축은행]

상상인플러스

 

 

 

예금자보호 한도 1억 원 상향

 

예금자보호 예금 한도 1억 원 상향되었다는 소식을 매스컴을 통해 접하셨을 겁니다. 20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5,000만 원 한도에서 예금자보호가 이루어졌었는데요. 

 

1억 원으로 한도가 상향됨에 따라 여려가지 따져보아야 할 것들이 있는데요. 

 

1억 원 한도 시행일, 주요국은 어느 정도 보호되는지, 새마을금고와 우체국도 예금자보호 한도가 적용되는지, 한도가 상향됨에 따라 장점과 단점은 어떻게 되는지 아래 포스팅에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새마을금고 정기예금 금리 지점별 정리, 예금자보호 1억

 

(11, 12월) 새마을금고 정기예금 금리 지점별 정리, 예금자보호 1억

이번 주 예금보호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하는데 여야의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시행일을 언제부터 할 것이냐를 두고 논의 중에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새마을금고 예금 적용에 대해서는

unassailable.bkroh1000.com

 

 

 

금리 인하 추세 대비 전략

 

계속해서 금리 인하 추세가 반복된다면 대비 전략은 어떻게 계획해 나가야 할까요?

 

 

먼저, 유동성 제고에 힘써야 합니다. 

 

금리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자금은 유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을 말합니다. 이에 대한 방법으로는 단기 예금 또는 파킹 통장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수익성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고정 금리의 정기예금에 투자하면 금리가 더 떨어질 수 있는데요. 그렇다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고정하면서 수익을 유지시켜 나가는 것이 자산 증식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수익성 제고입니다. 

 

바이오, 제약, 조선, 철강, 리츠, 금융, 건설업 등 금리 인하의 수혜주로 많은 이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주식은 성장 기회를 제공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원금 손실의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합니다.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3.25%로 동결할 것이란 예상을 뒤엎고 3.00%로 인하하게 되었습니다. 경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특단의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마음이 복잡하기만 합니다. 

 

내년도 경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일수록 현금 비중을 늘려가면서 다음을 도모할 준비가 되어있어야겠습니다.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표]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표]

 

 

 

지금까지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여러분의 예금 가입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