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목차

 

1. 시중은행 정기예금

2. 정기예금 금리(12월 4주 차)

3. 기간별 금리비교

4. 예금 가입 방법

5. 금리 가장 높은 곳

6. 시중 vs 2, 3 금융권 금리

 

 

 

 

금리 확인 바로가기

시중은행👈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협👈

 

 

 

아래 검색조건을 통해 염두에 두신 예치 기간과 금액을 설정하셔서 세후 이자를 확인해 보세요!

 

 

 

 

 

2024년 마지막도 한주를 남겨놓고 있습니다. 

 

상반기에 금융기관에서 판매하던 예금 상품의 금리는 현재와 비교하면 다소 높았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은 상황입니다. 

 

미 연준의 파월의장의 한 마디에 금융시장의 주가 그래프는 요동쳤으며, 금리 인하 여파로 한국은행의 금리도 덩달아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지금 시중은행을 비롯해 2, 3 금융권의 높은 금리를 자랑하던 곳의 금리도 이렇다 할 상황은 못되고 있습니다. 

 

이 시간 2024년 12월 4주 차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 순서는 맨 위에 명시했던 주제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시중은행 정기예금

 

시중은행 정기예금은 기간별에 따라 판매 은행이 다릅니다. 

 

단리 기준 3개월 정기예금 상품 판매 시중은행은 21건이 있고, 6개월은 26건, 12개월은 33건, 24개월은 21건, 36개월은 19건이 있습니다. 

 

 

 

 

 

 

각 기간별 1~10위에 대한 시중은행 정기예금 상품과 금리에 대해서는 아래 목차인 '기간별 금리비교'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정기예금 금리(12월 4주 차)

 

12월 4주 차 현시점 정기예금 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낮은 금리로 인해 이전보다 가입율은 낮아졌습니다. 그럼에도 아래 표는 인기 있는 가입 조건 기준인 12개월  & 1,000만 원 예치했을 경우입니다. 

 

 

 

3~36개월 예치 기간에 대한 내용은 바로 아래 목차에서 진행하겠습니다. 위 표는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기간별 금리비교

 

기간별(3~36개월) 금리비교를 통해 12월 4주 차 정기예금 금리와 세후 이자는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치 금액 1,000만 원 기준으로 1~10위에 해당하는 시중은행에 대해 정리했으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3개월

 

 

먼저 예치 기간 3개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으로 금리 3.40%전북은행이 가장 높습니다. 

 

정기예금 상품명으로는 'JB 다이렉트예금통장 (만기일시지급식)'으로 3개월 만기 후 72,000원의 세후 이자를 수령하게 됩니다. 

 

5대 시중은행에는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이 있습니다. 

 

각각의 상품명은 'NH올원e예금(3.20%)', 'NH왈츠회전예금 ll(3.10%)'와 'WON플러스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은 이전부터 3~12개월 10위권에 빠지지 않고 있습니다. 

 

 

 

6개월

 

 

6개월 예치하실 경우 금리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은 3개월과 동일하게 전북은행입니다. 

 

금리 3.50%이며 상품명은 동일(JB 다이렉트예금통장 (만기일시지급식))합니다. 

 

6개월 만기 후 148,0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5대 시중은행에는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이 있으며 상품명도 3개월에서 설명드린 것과 동일합니다. 

 

다만 금리가 상이하오니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12개월

 

 

다음으로 가장 가입율이 높은 12개월 상품입니다. 

 

수협은행'헤이(Hey) 정기예금' 상품이 금리 3.40%로 가장 높으며, 만기 후 288,0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3, 6개월 예치 기간과 마찬가지로 국내 5대 시중은행으로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이 있습니다. 상품명은 동일하며 위 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4개월

 

 

※ 전북은행의 'JB 123 정기예금 (만기일시지급식)' 상품은 12개월 상품으로 해당 기간 상품과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36개월 표도 동일) 

 

24개월 금리 가장 높은 시중은행은 2곳이 있습니다. 

 

먼저, 농협은행입니다.

 

금리 2.95%'NH올원e예금' 상품은 24개월 만기 후 500,000원의 세후 이자를 수령하시게 됩니다.

 

두 번째로, 제주은행이며 상품명은 '제주Dream 정기예금(개인/만기 지급식)' 입니다. 

 

 

 

36개월

 

 

마지막으로 예치 기간 36개월입니다. 

 

제주은행'제주Dream 정기예금 (개인/만기 지급식)' 상품이 금리 3.05%로 가장 높습니다. 

 

36개월 만기 후 774,000원의 세후 이자를 수령하게 됩니다. 

 

3~12개월까지 5대 시중은행으로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이 있었다면, 24~36개월에는 농협은행만 존재합니다. 

 

 

 

예금 가입 방법

 

예금 가입 방법에는 크게 온라인 가입 방법과 창구에서 가입하는 비대면 방법이 있습니다. 

 

정기예금 상품마다 가입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아래 표에서 살펴보시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가입 방법이 어려우신 분은 각 은행 창구에 방문하셔서 가입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비대면

가입
방법
[은행명]
상품명
비대면 [수협은행]
헤이(Hey)정기예금

[전북은행]
1. JB 다이렉트
예금통장

2. JB 123 정기예금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IBK 기업은행]
1석7조통장

[주식회사 케이뱅크]
*코드K 정기예금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농협은행주식회사]
NH올원e예금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

[경남은행]
1. BNK주거래우대
정기예금

2. BNK더조은정기예금


[광주은행]
스마트모아Dream
정기예금


[아이엠뱅크]
IM스마트예금

[부산은행]
더(The) 레벨업
정기예금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토스뱅크 주식회사]
*토스뱅크 먼저
이자 받는 정기예금

* K뱅크와 토스뱅크 상품은 해당 어플을 다운로드하셔서 가입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비대면/대면

가입
방법
[은행명]
상품명
비대면
/대면

모두
가능
[광주은행]
The플러스예금

[수협은행]
Sh해양플라스틱
Zero!예금


[한국산업은행]
KDB 정기예금

[농협은행주식회사]
1. NH왈츠회전예금 ll
2. NH내가Green

초록세상예금

[중소기업은행]
IBK평생한가족통장

[아이엠뱅크]
DGB주거래우대예금
(첫만남고객형)

[제주은행]
1. 제주Dream
정기예금

2. J 정기예금

[아이엠뱅크]
IM주거래우대예금
(첫만남 고객형)

 

 

 

금리 가장 높은 곳

 

1 금융권인 시중은행을 시작으로 2, 3 금융권에 해당하는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신협에는 다양한 정기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현시점 시중은행의 금리는 가장 낮습니다. 시중은행과 2, 3 금융권의 금리 비교는 아래 목차에서 한눈에 보기 쉽게 표로 정리했으니 천천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그전에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어떤 곳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리 조건은 6~36개월, 1,000만 원, 1~10위를 기준으로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개월

 

 

먼저, 6개월 기준입니다.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OSB저축은행입니다. 

 

금리 4.10%인 OSB저축은행의 상품명은 '정기예금''인터넷정기예금'입니다. 

 

만기 후 173,430원을 수령하시게 되며, '정기예금'은 방문가입만 가능하며, '인터넷정기예금'은 온라인만 가입 가능합니다. 

 

 

 

 

 

 

 

 

금리 3.70%에 해당하는 곳은 위 표에 명시된 금융기관 외에 다음과 같은 금융기관과 상품명이 있습니다. 

 

[신협]

 

백암, 봄내, 남양주 신협(파워정기예탁금), 중도 신협(한아름정기예탁), 가평, 백암, 남양주, 전북치과의사 신협(유니온정기예탁금), 가평, 대사, 백암, 충절로, 대구대서, 전북치과의사, 남양주 신협(정기예탁금)

 

 

 

12개월

 

 

12개월 상품 중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4.20%대왕 새마을금고 본점입니다. 

 

'Block예금' 상품으로 만기 후 329,94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가입은 창구에 방문하셔서 가입하셔야 합니다. 

 

 

 

 

 

 

 

 

금리 3.71%에 해당하는 곳은 서귀포 새마을금고 동홍지점을 제외하고 늘푸른사상 새마을금고 본점의 'MG더뱅킹정기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6개월과 12개월 예치 기간이 유일하게 금리 4% 대가 있으며 24개월과 36개월에는 3% 후반대가 가장 높습니다. 

 

 

24개월

 

 

예치 기간 24개월 기준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송도 신협 본점입니다. 

 

금리 3.80% '정기예탁금' 상품은 만기 후 642,96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온라인과 방문 가입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기호에 맞게 가입하시면 되겠습니다. 

 

 

 

 

 

 

 

 

금리 3.60%에는 대구성서신협 본점의 '파워정기예탁금' 상품 외에  늘푸른사상 새마을금고 본점의 '정기예탁금' 상품이 있습니다. 

 

 

 

36개월

 

 

마지막으로 36개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영해 새마을금고 본점'Block예금' 입니다. 금리 3.70%이며, 36개월 만기 후 939,06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가입은 방문 가입만 가능합니다. 

 

 

 

 

 

 

 

 

금리 3.58%에는 파주 새마을금고 본점의 'Block예금' 외에도 '자유자재정기예금 ll'상품이 있습니다. 

 

 

시중 vs 2, 3 금융권 금리

 

시중은행과 2, 3 금융권의 금리에 대한 비교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치
기간
시중
은행
2, 3
금융권
3개월 3.40%
72,000원
-
6개월 3.50%
148,000원
4.10%
173,430원
12개월 3.40%
288,000원
4.20%
355,320원
24개월 2.95%
500,000원
3.80%
642,960원
36개월 3.05%
774,000원
3.70%
939,060원

 

 

2, 3 금융권의 3개월 상품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전반적으로 2, 3 금융권의 금리가 시중은행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금리와 세후 이자 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6개월: 0.6%p, 25,430원

 

12개월: 0.8%p, 67,320원 

 

24개월: 0.85%p, 142,960원

 

36개월: 0.65%p, 165,060원

 

 

 


 

 

지금까지 2024년 12월 4주 차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동안 시중은행을 주거래로 사용하셨던 고객들은 2, 3 금융권의 예금 금리와 비교할 때 적지 않은 실망감을 감추기가 어려우실 텐데요. 

 

더군다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를 이행하게 되면서 앞으로도 정기예금 금리 인하를 피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부터는 경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지금부터라도 재테크에 더 치밀한 계획이 필요할 때입니다. 

 

굳이 시중은행이 아니더라도 금리가 높은 은행에서 정기예금 가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예금자보호 금액 한도가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될 예정이기 때문에 많은 고객들의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똑똑한 재테크를 통해 여러분의 통장 잔고가 두둑해지기를 바라며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