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주 11일(금)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하했습니다. 

 

4년 5개월(53개월)만에 단행한 데에는 2가지 요소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요. 9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대로 하락한 것과, 7~9월 사이 부동산 거래량의 감소입니다.

 

금융권에서는 금리 인하 흐름 대비책에 대해 설명하면서 정기예금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기관별 금리 확인👇

시중은행👈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협👈

 

 

 


지난주 대비 10월 셋째 주 금리 변동이 있었으며, 기준금리 인하 소식과는 별개로 오히려 정기예금 금리가 인상되는 상품이 있습니다. 어떤 시중은행의 예금 상품인지 알아보는 시간 갖겠습니다. 

 

 

목차

     

     

    시중은행 예금금리 비교

     

    시중은행 예금금리 비교에 앞서 정기예금 가입율이 가장 높은 상품은 1,000/12개월 상품입니다. 아래 자료는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참고로 했습니다. 

     

    기간별 금리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다음 목차에서 진행할 예정이기 때문에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시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기간별 금리 비교

     

    기간별 금리 비교는 시중은행에서 판매 중인 3~36개월 상품에 대해 예치 금액 1,000만 원으로 잡고 비교 정리했습니다. 

     

    지난주 한국은행에서 금리 인하 발표를 하게 되면서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금리 인하된 예금 상품도 있지만 큰 폭으로 금리 인상된 은행의 예금 상품도 있기 때문에 아래에서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치 기간: 3개월

     

     

    3개월 예치 상품에서는 수협은행'헤이(Hey)정기예금' 상품이 금리 3.40%로 가장 높습니다. 

     

    3개월 만기 후 72,0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지난주 대비 우리은행의 'WON플러스예금' 상품의 금리 변동이 있었습니다. 3.47% → 3.37%로 0.1%p, 2,250원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국내 5대 시중은행으로 우리은행 외에 농협은행이 있습니다. 각각의 상품명으로는 'NH올원e예금(3.30%, 금리 동결)', 'NH왈츠회전예금 ll(3.20%, 금리 동결)'가 있습니다. 

     

     

     

    예치 기간: 6개월

     

     

    6개월 예치하실 경우 농협은행'NH올원e예금' 상품과 전북은행'JB 다이렉트예금통장(만기일시지급식)' 상품이 금리 3.50%로 가장 높습니다.  

     

    6개월 만기 후 148,000원 수령하시게 됩니다. 지난주 대비 금리 변동이 있어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농협은행

    NH올원e예금

    3.40% → 3.50%(0.1%p 상승)

     

    농협은행

    NH왈츠회전예금 ll

    3.30% → 3.40%(0.1%p 상승)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3.52% → 3.42%(0.1%p 하락)

     

    IBK 기업은행

    1석 7조통장(실세금리정기예금)

    3.17% → 3.18%(0.01%p 상승)

     

     

     

    예치 기간: 12개월

     

     

    12개월 동안 예치 하실 경우 금리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은 농협은행입니다. 

     

    상품명은 'NH올원e예금'으로 금리 3.42%이며, 12개월 만기 후 289,0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국내 대표 5대 시중은행에는 농협은행 외에 우리은행이 있으며 상품명으로는 'WON플러스예금(3.37%, 금리 변동)'이 되겠습니다. 

     

    지난주 대비 금리 변동 상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농협은행

    NH올원e예금

    3.41% → 3.42%(0.01%p 상승)

     

    농협은행

    NH왈츠회전예금 ll

    3.31% → 3.32%(0.01%p 상승)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3.50% → 3.37%(0.13%p 하락)

     

    주식회사 케이뱅크

    코드K 정기예금

    3.30% → 3.20%(0.1%p 하락)

     

    전체적으로 우리은행의 'WON플러스예금' 상품의 금리 변동 폭이 가장 높았으며, 주식회사 케이뱅크의 '코드K 정기예금'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NH농협은행의 상품들은 6개월 기준과 12개월 기준 모두 소폭 상승했습니다. 

     

     

     

    예치 기간: 24개월

     

     

    예치 기간 24개월일 경우 금리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은 경남은행입니다. 

     

    'BNK주거래우대정기예금' 상품으로 금리 3.15%이며, 세후 532,0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최상단에 전북은행의 'JB123 정기예금(만기일시지급식)' 상품이 등제되어 있지만 해당 상품은 12개월 상품입니다. 

     

    국내 5대 시중은행에는 농협은행이 있는데 예치 기간 36개월도 동일합니다. 

     

    지난주 대비 금리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농협은행

    NH올원e예금

    3.04% → 3.05(0.01%p 상승)

     

    IBK 기업은행

    1석7조통장(실세금리정기예금)

    2.93%(순위 등판)

     

     

     

    예치 기간: 36개월

     

     

    마지막으로 36개월 상품입니다. 

     

    금리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으로 제주은행이 되겠습니다. 

     

    상품명으로는 '제주Dream 정기예금(개인/만기지급식)' 상품으로 금리 3.25%입니다. 

     

    만기 후 825,0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가입 방법

     

    가입 방법에는 비대면 방식과 대면 방식으로 구분 지어 정리했습니다. 관심 있는 시중은행 상품을 클릭하시면 가입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비대면

    가입
    방법
    [은행명]
    상품명
    비대면 [수협은행]
    헤이(Hey)정기예금

    [전북은행]
    1. JB 다이렉트
    예금통장

    2. JB 123 정기예금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IBK 기업은행]
    1석7조통장

    [주식회사 케이뱅크]
    *코드K 정기예금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농협은행주식회사]
    NH올원e예금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

    [경남은행]
    1. BNK주거래우대
    정기예금

    2. BNK더조은정기예금


    [광주은행]
    스마트모아Dream정기예금

    [아이엠뱅크]
    IM스마트예금

    [부산은행]
    더(The) 레벨업 정기예금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 주식회사 케이뱅크 상품은 app 설치 후 가입 진행

     

     

    비대면/대면

    가입
    방법
    [은행명]
    상품명
    비대면
    /대면

    모두
    가능
    [광주은행]
    The플러스예금

    [수협은행]
    Sh해양플라스틱
    Zero!예금


    [한국산업은행]
    KDB 정기예금

    [농협은행주식회사]
    1. NH왈츠회전예금 ll
    2. NH내가Green

    초록세상예금

    [중소기업은행]
    IBK평생한가족통장

    [아이엠뱅크]
    DGB주거래우대예금
    (첫만남고객형)

    [제주은행]
    1. 제주Dream
    정기예금

    2. J 정기예금

    [아이엠뱅크]
    IM주거래우대예금
    (첫만남 고객형)

     

     

     

    금리 가장 높은 금융기관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시중은행을 제외한 곳이 되겠습니다. 새마을금고, 신협, 저축은행이 주를 이루고 있어 많은 고객들로부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중은행에서 다루었던 정리 기준(예치 금액: 1,000만 원)을 토대로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자료는 마이뱅크 홈페이지를 참고했습니다. 

     

     

     

     

     

     

    예치 기간: 6개월

     

     

    먼저, 예치 기간 6개월입니다. 

     

    지난주 대비 금리가 0.1~0.2%p 하락했지만 1~5위 모두 금리 4.00%로 다양한 금융기관이 있습니다. 

     

    신도새마을금고 본점의 '자유자재정기예금 ll'과 상상인플러스 저축은행 본점의 '정기예금', OSB저축은행 분당의 '정기예금', HB저축은행 본점의 'e-6개월 회전정기예금', '스마트 6개월 회전정기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6개월 만기 후 169,200원을 수령하시게 되며, HB저축은행 본점을 제외하고 창구 방문하셔서 가입하셔야 합니다. 

     

    이 외 금리 4.00%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에는 NH저축은행, 상상인플러스 저축은행 본점이 있습니다. 

     

     

    예치 기간: 12개월

     

     

    12개월 예치하실 경우 6개월 기준과 마찬가지로 1~5위 모두 금리 4.00%로 동일합니다. 

     

    각각의 금융기관과 상품명은 가락새마을금고 본점의 '자유자재정기예금 ll', CK저축은행 원주출장소의 '정기예금', 바로저축은행 본점의 '스마트정기예금', 'SB톡톡 정기예금', 머스트삼일 저축은행 본점의 'e-정기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가락새마을금고 본점을 제외하고 온라인 가입이 가능합니다. 

     

    12개월 만기 후 338,40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이 외 금리 4.00%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에는 대한저축은행 본점이 있습니다. 

     

     

     

    예치 기간: 24개월

     

     

    24개월 예치하실 경우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JT친애저축은행 잠실점 '비대면 회전식 정기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금리 3.95%로 온라인 가입이 가능하시며, 만기 후 668,34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예치 기간: 36개월

     

     

    마지막으로 예치 기간이 36개월일 경우 금리가 가장 높은 금융기관은 1~5위 모두 금리 3.95%로 동일합니다. 상상인플러스 저축은행 본점과 JT친애저축은행 잠실점이 있습니다. 

     

    36개월 만기 후 1,002,510원을 수령하시게 됩니다. 

     

    '9개월 회전정기예금' 상품을 제외하고 모두 온라인 가입이 가능합니다. 

     

     

     

    참고하면 도움 되는 글

     

    숨은 퇴직연금 조회 및 신청 방법

    1,106억, 1,177억 위 금액은 작년(2023년) 한 해와 3년 평균 퇴직연금 적립금입니다.  개인 사정으로 이직하셨거나 경영 악화로 인한 폐업으로 퇴직금을 수령하지 못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데요

    yesiam1000.tistory.com

     

    보일러 교체 지원금 신청방법, 지원대상 총정리

    보일러 대당 교체 지원금 60만 원을 지원해 줍니다! 지자체별 접수 마감 또는 예산 소진 시까지 접수받고 있기 때문에 서둘러서 지원금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지원금 신청하기 👈    아

    yesiam1000.tistory.com

     

     

    지금까지 10월 셋째 주 시중은행 예금금리 가장 높은 곳 비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미 연준의 빅컷 이후에 한국은행에서도 종합적인 고려 끝에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하게 되었습니다. 

     

    금융권에서는 금리 인하 흐름에 발맞춰 다음과 같은 대비책을 제시했습니다. 

     

    1. 유동성을 높여야 합니다. 

    돈을 한 곳에 묶지 말고 금리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단기 예금 또는 파킹 통장을 이용하기를 추천합니다. 

     

    2. 수익성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고정금리의 정기예금과 같은 상품에 투자해야 하는데 그 이유인 즉 금리가 현시점보다 더 내려가더라도 비교적 괜찮은 이자를 수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수익성을 높여야 합니다. 

    리츠, 바이오, 제약과 같은 기업이나 금융, 건설, 철강, 조선과 관련된 기업의 주식은 금리 인하 수혜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금리가 인하할 경우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원금 손실에 대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조심하셔야 합니다. 

     

    금통위에서는 또다시 금리 인하 할 것이냐에는 과반수 이상이 기준금리 3.25%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앞으로의 경제와 국제 정세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10월 셋째 주) 시중은행 예금금리 가장 높은 곳 비교
    (10월 셋째 주) 시중은행 예금금리 가장 높은 곳 비교